포토키나에서 파나소닉이 하이브리드 스마트폰 카메라를 선보인다 특이하게도 파나소닉이 포토키나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발표한다는 소문.이름하여 하이브리드 카메라.하이엔드급의 스마트폰 카메라라고 하는데 아직 스펙은 전해지고 있지 않다.하지만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가 분명 소형 똑딱이 시장을 없애버렸다.이 얘기는 똑딱이 기술은 이제 스마트폰과 접목으로 살아남아야한다는 것이다.파나소닉이 머리 좋게 스마트폰 쪽으로 머리를 돌렸다. 사진은 소문의 하이브리드 카메라가 아니라 현재 생산중인 카메라.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9.13
니콘 D750 vs. D4s, D810, D610, D7100, D5300, D3300 비디오 기능 비교 최신 니콘 카메라 D750이 출시하면서 비디오 기능이 궁금했는데니콘 루머즈에 D750 vs. D4s, D810, D610, D7100, D5300, D3300의 비디오 기능 비교가올라왔다. 한눈으로 그 특징과 차이를 볼 수 있어서 좋다. HD-SLR cameras video features comparison from Nikon (D750 vs. D4s, D810, D610, D7100, D5300, D3300): 비디오 촬영시 감도설정이 좀 다른데 그 이외에는비디오 촬영에 대해서는 거의 D4S와 D810과 같다.최고의 사양이란 뜻이다. Read more on NikonRumors.com: http://nikonrumors.com/2014/09/12/nikon-hd-slr-cameras-video-fea.. 사진학개론/NIKON 2014.09.13
GM5 가격 GM1과 같다, 4K에 대한 소문은 결국 GM5 가격이 GM1과 같다!!!놀라운 소식이다.GM5는 확실히 뷰파인더를 내장한 기종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GM1 출시 가격과 같다고 예상하고 있다.GM5 판매량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GM5의 뷰파인더는 기존 컴팩트 카메라 LF1과 비슷할 것으로 보이는데이는 불편하기는 해도 햇빛이 강한 날, 액정이 보이지 않을 때는매우 유용한 스펙으로 보인다. 한편 장안의 화제를 불어모았던 GM5의 4K 동영상 탑재 가능성에 대해서는불가능이라는 얘기가 나왔다.매우 아쉬운 소식이다. http://www.43rumors.com/ft5-panasonic-gm5-to-have-same-price-as-the-current-gm1/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9.12
혁명이 일어나는가? 올림푸스 OM-D E-M1 실버와 4K 펌웨어 업데이트 OM-D E-M1 실버버전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펌웨어 업데이트가 있을거란 소식은이미 오래되었고 거의 확정적이다.하지만 올림푸스 유저의 관심사는 그런 것들이 아니다.과연 4K 동영상이 추가되는가가 초미의 관심사다.이제 며칠 후면 정식 발표가 나온다. 4K 동영상 추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일단 필자의 가장 큰 의심은 발열문제다.발열 문제 해결 없이 과연 어떤 4K가 등장하는가?그리고 발열을 해결했을 때 소니센서를 채용한 올림푸스는 과연 어느 정도까지 도약할 수 있을까? 이 문제에 대해서 명쾌하게 답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동영상의 발열문제가 해결되면 녹화 시간에 대한 제약도풀릴 수 있을 것이며 파나소닉과 비슷한 수준의 동영상만 가능하다면 올림푸스는 소니와 겨뤄볼만한 것이다.더 이상 파나소닉과 겨루는 대상이 아..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9.12
Olympus OM-D E-M1에 40-150mm f2.8 PRO 렌즈 마운트 사진 Olympus Australia posts picture of the 40-150mm PRO zoom.포서드 루머즈에 Olympus OM-D E-M1에 40-150mm f2.8 PRO 렌즈 마운트 사진이 올라왔다. 35미리 환산 80-300미리에 전영역 밝은 조리개 F2.8 고정의 망원 줌렌즈는 이미 오래 전부터 전세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었는데 OM-D E-M1에 마운트한 모습을 보니 정말 육중하고 뽀대가 넘친다. 올림푸스 표준 줌렌즈 12-40과 망원렌즈 40-150미리 두개 렌즈면 24미리 광각부터 300미리 망원까지 F2.8로 무장하여 거의 완벽에 가까운 장비라 볼 수 있겠다. 7-14미리 같은 광각만 구비하면 끝이다. 9-18미리 올림푸스 렌즈가 있기는 하지만 너무 어둡고 화질이 구리다..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9.10
소니 풀프레임 4,500~4,600만 화소 카메라 소식 SR3 소문으로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근거없는 소문이 아닌 등급. 게다가 필자는 이미 예상하고 있었던 고화소 풀프레임 카메라로 출시에 확신이 든다. 이유는 소니가 신제품 출시에 항상 세상을 놀라게 했는데 더 이상 놀라게 만들만한 것이 별로 없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마지막 남은 예상가능한 혁명은 바로 소니 풀프레임 고화소가 남는다. 소니 알파 루머즈 http://www.sonyalpharumors.com/sr3-more-tidbits-about-the-full-frame-45-46-megapixel/ 이것이 이미 가능한 이유는 펜탁스 645z에서 확인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이 쓰고 있지 않고 빌릴 수도 없어서 써보지는 못했는데 구입한 사람은 매우 만족도가 높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풀프레.. 사진학개론/SONY 2014.09.09
후지필름 XF 18-55 f/2.8-4 WR 출시 확실시 후지필름 XF 18-55 f/2.8-4가 방진방적으로 나온다는 소문이 많았는데쇼핑몰에 "새로운 포토키나" XF 렌즈, XF 18-55 f2.8-4 OIS WR(방진방적 렌즈)가올라오고 있다.따라서 손떨림보정 OIS가 없는 16-55 f/2.8과 OIS가 있는 18-55 F/2.8-4 방진방적 렌즈가라인업 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문: http://www.fujirumors.com/weather-sealed-edition-of-the-xf-18-55-f2-8-4-lens-coming-too-via-top-foto/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9.09
구경하기 힘든 렌즈, 콘탁스야시카 C/Y Distagon 15mm f3.5 콘탁스야시카 C/Y Distagon 15mm f3.5 with PANASONIC GH212군 13매라는 엄청 무거운 렌즈.c/y의 최광각 렌즈라고 할 수 있다. 최단촬영거리가 엄청 짧다.16cm부터 촬영가능. 상당히 훌륭한 렌즈고 소장 가치 있는 사랑스러운 렌즈다. 하지만 875g으로 무겁고 gh2 같은 마이크로 포서즈에 가면 30mm가 돼버린다. 흑백 촬영을 위해 색깔 필터와 uv 필터가 내장되어 있다.아래 동영상 보면 필터 교체하는 모습 나옴.그리고 핸즈온 사이즈. 자, 이제 아주 작은 카메라 gh2에 마운트 해보자. 결과물 보면...빛과 맞짱 떠서 플레어 아주 잘 억제되고화질이야 뭐 당연히 좋고살짝 부드러운 느낌이 좋네. 느낌이 확실히 다르다.디지털에 색감이 뭐 상관있겠냐고 하지만사실 차이 많이 난..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9.08
9월엔 카메라 사지 마세요! 9월! 카메라와 렌즈 구입 계획이 있다면!!! 캐논은 며칠 있으면 소문이 나올 것이고그 외의 모든 카메라 브랜드에서는 놀라운 뉴스가 쏟아지고 있다. 우선 니콘 D750이 그 이름을 드러냈고후지의 슈퍼보케 렌즈라는 후지필름 XF 56mm f1.2 R APD 뭔 기능이 있다는데그리 큰 관심사는 아니어서 정확하게 나오면 포스팅하기로 하고 소니의 무지무지하게 부족한 FE 렌즈도 3종 정도 선보일 것으로 보이는데소니 SEL 1635Z F4, 꼭 필요한 렌즈인데또 F4 시리즈로 나오니 미치는 일이고... F4부터 다 채우는 것 같은데 기다리기 지루한 중! 또 SEL 28-135mm f4 16-35만큼 꼭 필요한 렌즈도 아닌데서둘러서 나오는 이 녀석도 f4. f4랑 원수를 졌는지아주 죽어라 f4만 뽑아낸다. 16-3..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9.08
슈퍼문과 페르세우스 유성우, 별사진 찍는 방법 (별궤적 합성 프로그램) 오는 8월 10일, 지구와 달이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이른바 슈퍼문이 뜬다고 합니다.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벌써부터 어디서 슈퍼문을 맞이할까 작전을 짜고 있답니다. 게다가 페르세우스 유성우도 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슈퍼문은 지구에 14% 정도 달이 가깝게 근접하여 보통 때의 달 보다 30% 이상 밝게 빛난다고 합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슈퍼문이 나타난 다음날인 11~13일 정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는데 유성이 비처럼 밤 하늘에 쏟아지는 현상입니다. 한꺼번에 100개의 유성우가 쏟아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미항공우주국(NASA)의 마셜우주비행센터는 12일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실시간으로 생방송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내리는 이유는 스위프트-터틀 혜성(Comet Swif.. 사진학개론/카메라,렌즈 리뷰 2014.08.09